etc

라즈베리파이에 우분투 서버(20.04) 설치하기 - 1

J-Mook 2022. 1. 13. 13:06
반응형

데스크탑이나 노트북을 키지 않아도 365일 24시간동안 계속 코드를 실행 시키기 위해 작은 서버가 필요해 졌다.

집에 굴러다니는 라즈베리파이3를 주워다가 만들기로 하였고, 그 위에 OS는 우분투 서버 20.04를 설치 할 것이다.

 

일단 라즈베리파이는 내장되어있는 저장장치가 없고 별도의 sd카드를 삽입하여 사용하는데, 때문에 sd카드에 os를 설치 해 주어야한다.

별로 추천하는 방식은 아니지만, os찾아서 다운받고 sd카드에 굽기 귀찮으니 그냥 라즈베리파이 사이트에서 imager를 다운로드 해준다.

https://www.raspberrypi.com/software/

 

Raspberry Pi OS – Raspberry Pi

From industries large and small, to the kitchen table tinkerer, to the classroom coder, we make computing accessible and affordable for everybody.

www.raspberrypi.com

 

 

설치하면 이렇게 실행 시킬 수 있는데, 일반적으로 라즈비안을 설치하는 경우라면 Operating System에서 맨 위의 Rasberry Pi OS를 선택하면된다.

 

나는 other general purpose OS > Ubuntu > Ubuntu Server 20.04 LTS를 선택하였다.

Storage는 그냥 sd카드를 꽂으면 알아서 뜰것이다. 그냥 선택해 준다.

 

WRITE 버튼이 활성화되면 눌러주면된다. 이게 생각보다 오래걸리니까 밥이나 먹고오자. (나는 20분정도 걸렸다.)

 

 

 

위 과정이 끝나고 os가 입혀진 sd 카드, 화면, 키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꽂고 부팅시키면

...화면이 안나온다. 

 

앞으로 많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, 아래의 게시글을 참조하여 해결 해준다. 

 

https://jmook.tistory.com/17

 

라즈베리파이에 우분투 서버(20.04) 설치하기 - 이슈해결

화면출력 불량 위처럼 화면이 안나오는건 아닌데 이상하게 깨져서 출력되는 경우가 있다. 내 생각에는 라즈베리파이이기 때문에 펌웨어가 재대로 들어있지않아 발생하는 증상으로 보인다. os가

jmook.tistory.com

반응형